티스토리 뷰
올 겨울에도 눈이 제법 왔어요. 그죠? 문제는 길이 얼어붙어 사람도 자동차도 미끄러지기 쉽다는 거죠.
그래서 빙판길이 되는 걸 막기 위해 흰색 염화칼슘을 뿌려주죠.
왜 뿌리는 걸까요? 원리가 뭘까요?
염화칼슘이 물에 녹으면 물의 어는 점을 크게 낮춰줍니다. 안 뿌렸으면 바로 얼었을 물이 염화칼슘 때문에 강추위에도 얼지 않는 거죠. 그러니 미끄러질 염려가 덜합니다.
어는 점을 크게 낮춰준다면 몇 도에 어는 걸까요?
물은 0도에서 얼기 시작하죠. 그렇다면 영하 10도? 영하 15도?
염화칼슘이 물에 녹으면 그 물은 자그마치 영하 52도부터 얼기 시작합니다. 정말 무자비하게 추운 곳이 아니라면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얼지 않는다는 얘기죠.
그렇다고 무적 만능은 아닙니다. 영하 15도까지는 물이 어는 것을 강하게 막아줍니다. 하지만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효과가 떨어집니다.
소금도 비슷한 작용을 하는데요. 실제로 과거에 염화칼슘이 품귀현상을 빚을 땐 대신 소금을 뿌리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소금이 식용이라고 해서 염화칼슘이 식용인 것은 아닙니다. 드시면 아니 되옵니다.
그렇다면 왜 소금을 뿌리지 않고 염화칼슘을 뿌리는 걸까요?
가격이 싸기 때문입니다. 효과도 소금보다 염화칼슘이 더 좋고요.
이렇게 유용한 염화칼슘이지만 좋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금속을 부식시키거든요.
도로에 뿌리는데 차는 금속으로 만들어지니 차량에 좋지 않겠죠? 그래서 겨울철에는 세차를 자주 해줘야 합니다.
환경 이슈도 있습니다. 도로에 뿌리면 중금속을 녹여내고 녹은 중금속이 하수구 등으로 흘러 들어간다는 거죠.
거참 그렇다고 빙판길에 안 뿌릴 수도 없고 말이죠. 이것도 딜레마네요.
피부에 묻으면 자극이 돼서 좋지 않습니다. 혹시 피부에 묻으면 얼른 깨끗한 물로 씼어주세요.
역시 좋은 면이 있으면 나쁜 면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겨울철에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니 고마운 존재임에는 틀림 없습니다.
염화칼슘아~! 고마워~!!
'생활의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티컬 음성 출력을 스피커로 듣는 방법, 블루레이에 광케이블 음성 출력만 있을 때 저렴한 DAC로 해결하는 방법 (0) | 2022.01.08 |
---|---|
LG 그램 C타입 랜젠더 윈도우 엘지 노트북 맥북 랜 젠더 (0) | 2022.01.07 |
감명깊은 유튜브 영상 강의 등을 필사를 통해 완전히 소화하고 기억하는 방법 (0) | 2022.01.06 |
스마트 TV 없이도 일반 TV나 모니터 화면으로 넷플릭스와 유튜브 보는 방법 (0) | 2022.01.05 |
회사에서 조퇴해야 할 때 꾀병으로 아파 보이는 방법 (0) | 2022.01.04 |